잔디 이야기

[스크랩] 잔디 잡초

자안디 2009. 10. 22. 21:50

 
주요 잡초 종류 
1. 바랭이  2. 새포아풀  3. 파대가리  4. 토끼풀  5. 매듭풀  6. 쑥  7. 망초   8. 쇠뜨기
1.바랭이(Digitaria sanguinalis L.), Crabgrass
 
     
 
  어린식물(3엽기, 2.5엽기, 2엽기) 어린식물(4엽기)
 
     
 
  생육중기 꽃줄기 및 종자
 

생활형 : 일년생, 생육기간은 5월~10월

발생지 : 잔디밭, 밭, 밭둑, 과수원, 도로변, 기타 공한지

번식 : 종자

일반적인 성질과 방제법

① 발아 전후의 토양처리에 철저를 기할 것.
② 배토사의 청결도를 높이는 방법을 도모할 것
③ 골프장내의 바랭이 발생원의 제거
④ 잔디밭내에서 결실시키지 말 것
⑤ 잔디를 건전하게 육성시킬 것.

일반적인 성질과 방제법

바랭이에 적용되는 제초제의 처리시기 ;

1) 발아전 처리
2) 발생초기까지 처리
3) 발생초기부터 2엽기까지 처리
4) 생육기 처리

1)~3)은 Bensulide(한지형, 난지형 모두 안전)로 토양처리한다. 토양처리제의 대부분은 바랭이 발아전에 사용하는데 발아초기 처리도 유효하다. 그러나 갱신작업과 잔디의 초기생육이 악화되고 제초제의 살포가 지연되면 유효한 적기 처리폭이 넓은 발아후 처리약제를 사용한다. 발생후 3~4엽기에는 Asulam(한지형 잔디에 약해)과 Flazasulfuron(한지형 잔디에 약해)을 경엽처리하면 유효하다. 바랭이의 발생후 약제살포시기가 지연되었을때에는 토양처리제에 경엽처리제인 Asulam을 가용한다. Asulam은 새롭게 발아하는 바랭이의 발아방지력이 없으므로 토양처리제(스톰프, 벤트그래스에 약해 있음)를 혼합 살포하면 재발생되는 바랭이를 고사시키고, 그후에 발생되는 바랭이도 방제된다. 토양처리제 가운데에는 잔디맹아시 처리하면 잔디의 생장에 영향을 주는 것도 있으므로 약제선정에 유의해야 하며 맹아시를 피해서 살포해야 된다.

 
2. 새포아풀(Poa annua L., Annual bluegrass)
 
     
 
  생육성기(개화기)  
 

생활형 : 일년생, 월년생인데 다년생화된 것도 있음 생육기간은 9월에서 이듬해 7월경

발생지 : 잔디밭, 밭, 밭둑, 도로변, 초지

번식 : 종자

P. annua var. annua 는 월년생이며 P. annua var. reptans는 다년생으로 통상 늦여름~초가을에 발아하며 이듬해 봄에 출수, 개화, 결실을 하며 완숙되지 않은 상태의 종자도 발아율이 높다. 이런 특성 때문에 세계적으로 골프장의 문제 잡초로 대두되고 있으며 초봄에도 발아하여 개화 결실하는 경우도 있으며 습윤하고 응달진 곳에서는 여름에도 발아하는 경우가 있다. 습윤하고 인산함량이 높으며 비옥한 토양에서 생육이 왕성하며, 낮은 예고, 다량시비, 다회관수의 집약적 관리가 이루어지는 지역(ex. Green)에서는 절대 우점 잡초종이며 한 개체당 360여개의 종자를 맺는다.

일반적인 성질과 방제법

① 배수를 양호하게 하고 과도한 살수를 피한다.
② 잔디의 생육을 왕성하게 한다.
③ 골프장조성시 파종상에는 근사미, 바스타를 처리하고, 배토사에는 토양소독제인 메칠후로마이드 등을 처리한다.
또한 새포아풀 종자의 혼입이 없는 우량종자를 파종한다.
④ 페어웨이와 그린주위의 새포아풀은 개화결실 전에 철저히 방제하여 씨앗의 유입을 방지한다.
⑤ 과도한 인산시비를 피한다.

제초제에 의한 방제

9월초~11월말 잡초가 발생하기 전에 토양처리제 디치오피르 유제(디멘죤)을 균일하게 살포한다. 생육기 새포아풀 제거를 위해 12월에서 2월 사이에, 즉 한국잔디 휴면기에 paraquat 0.2~0.3 mL/m2를 살포하거나 flazasulfuron을 경엽처리한다.
 
3. 파대가리(Killinga brevifolia var. leiolepis Hara., Green kyllinga)
 
     
 
 
생육초기
 
 
  파대가리 생육성기(개화기) 개화기(군락) 및 종자(삭과)
 

생활형 : 다년생, 생육기간은 5월~10월경

발생지 : 잔디밭, 밭, 도로, 공한지

번식 : 종자 및 지하경으로 번식

향부자와 파대가리는 경종적 수단으로는 제거가 곤란하지만 파대가리는 배수를 개선해서 다습상태를 피하면 어느정도 방제가 가능하다

제초제에 의한 방제

향부자와 파대가리는 발아전 토양처리제를 사용하면 방제효과를 볼 수 있다. 향부자와 파대가리는 발생후 3~5엽기까지 flazasulfuron(0.05~0.075g/m2)를 가용살포하면 된다. 그후 생육기에는 MCPP나 triclopyr를 단용 혹은 혼용으로 살포한다.
 
4. 토끼풀(Trifolium pratense L., Red clover)
 
     
 
  개화기 생육성기
 

생활형 : 다년생

발생지 : 초지, 잔디밭, 도로변, 밭, 밭둑

번식 : 종자, 포복경

석회와 인산비료를 시비하면 번식이 왕성해진다

제초제에 의한 방제

생육초기인 4월초까지 디캄바액제(반벨)를 살포한다. 토끼풀이 대형화 된 경우에는 triclopyr + MCPP를 조합하면 효과적이다.
 
5. 매듭풀(Kummerovia striata (Thunb.)Schindl, Japanese clover)
 
     
 
  어린식물(발아직후) 생육초기
 
     
 
  생육성기(개화기)
 

생활형 : 일년생

발생지 : 산야, 도로변, 밭, 밭둑, 잔디밭

번식 : 종자

산성토양에 강하며 또한 화산회 토양에도 많다.

제초제에 의한 방제

토양처리제 isoxaben을 3월말에서 5월초 잡초발아전 토양처리한다. 발생시에는 목질화되기 이전에 처리하며 약제로는 Triclopyr + MCPP 약제를 처리.
 
6. 쑥(Artemisia japonica Thunb., Mugwort)
 
     
 
  생육초기(근생엽) 꽃피는 모습
 

생활형 : 다년생

발생지 : 밭, 잔디밭, 과수원, 도로변, 공한지

번식 : 종자, 지하경

특성

줄기의 높이는 50~10cm이고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털이 잇다. 잎은 타원형으로서 어긋나며 깃털형으로 깊게 갈라진다. 갈라진 잎의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뒷면에 흰색 털이 밀생한다. 꽃은 8~10월에 원추화서로 피고 꽃대는 거의 없다.

제초제에 의한 방제법

생육기에 Asulam, MCPP, banvel, triclopyr등의 호르몬계 제초제를 사용하여 방제
 
7. 망초(Erigeron candensis L., Horseweed)
 
     
 
 
생육초기(근생엽)
 
 
  생육성기(개화기) 생육중기(잎, 줄기)
 

생활형 : 월년생

발생지 : 밭, 밭둑, 잔디밭, 논둑, 과수원, 도로변, 공한지

번식 : 종자

제초제에 의한 방제

생육기에 Asulam, MCPP, banvel, triclopyr등의 호르몬계 제초제를 사용하여 방제

 
8. 쇠뜨기(Equsetum arvense L. Field horsetail)
 
     
 
  생육성기(잎줄기) 포자경
 

생활형 : 다년생

발생지 : 잔디밭, 밭, 도로변, 공한지 및 제방

번식 : 지하경, 포자

제초제에 의한 방제

예방적 방제가 효과적인데, 이미 발생한 곳에서는 경엽처리제 MCPP나 triclopyr를 생육기에 살포한다.(한국잔디)

출처 : 친환경농업(귀농(촌), 한국유기농업기사협회)
글쓴이 : 날마다좋은날 원글보기
메모 :

'잔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양삼각도  (0) 2009.12.14
잔디농장  (0) 2009.10.27
잔디운동장  (0) 2009.10.21
엘씨엠  (0) 2009.10.14
잔디농장  (0) 2009.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