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 자생하는 나무를 향토수종이라 한다.
요즘 풀꽃, 향토수종, 신토불이에 대한 관심이 깊다.
그러나, 나무 이름은 듣고 돌아서면 잊어버리기 쉽다.
향토수종 역시 각자 저마다 사람처럼 고유 이름이 있다.
자세히 관찰해 보면 그 뜻을 저절로 알 수 있는 이름이다.
층층나무-> 나무가지가 몸통과 직각으로 퍼져 층층을 이루어 층층나무.
삼지닥나무-> 나무가지가 마디마다 정확하게 3개씩 갈라지는 삼지닥나무,
멍석딸기-> 멍석 깔아놓은 듯 땅에 붙은 멍석딸기, 줄줄이 열리는 줄딸기,
국수나무-> 껍질과 속도 희고 길게 늘어져 국수를 연상한다 하여 국수나무,
용버들-> 가지가 꼬불 꼬불 용트림하는 용버들, 축축 늘어지면 수양버들,
싸리비 나무, 싸리-> 빗자루를 만들고 약용으로 쓰이는 초본 성격의 싸리비 나무.
왕버들-> 그 종류 중 모양이 왕 같아 왕버들, 왕자귀나무, 왕머루, 왕대.
눈향나무-> 나무가 자빠져 누운 듯 하면 눈잣나무, 눈향나무, 눈측백나무.
참빗살나무-> 나무의 쓰임새로 대팻집나무, 참빗의 살을 만든 참빗살나무.
윤노리나무-> 고기잡이 도구용 작살나무, 윷을 만들기 적당한 윤노리나무,
조릿대-> 키나 고리괘짝을 만든 키버들 고리버들, 부엌 조리용 조릿대
오리나무-> 옛날에 이정표 용도로 5리 마다 심었기에.,오리나무.
시무나무-> 옛날에 이정표 용도로 10리마다 심었다는..시무나무.
옷나무-> 옻칠에 쓰인 옻나무, 황금빛 낼 수 있는 황칠에 쓰인 황칠나무
떡갈나무-> 떡시루에 까는 떡갈나무, 환자가 생기지 않는다는 무환자나무,
노각나무-> 가지가 낭창낭창하여 말채찍용 말채나무,사슴뿔 같아 노각나무.
자귀나무-> 밤에는 잠자는 귀신같다 하여 자귀나무, 사철 푸르다는 사철나무,
사시나무-> 잎자루가 길어 약간의 바람만 불어도 잎이 벌벌 떤다는 사시나무,
미역줄나무->덩굴의 뻗음이 튼튼하여 미역 고갱이처럼 생겼다하여 미역줄나무
마가목-> 싹 나오는 모양이 말 이빨처럼 튼튼하게 생겨 마아목이 변한 마가목,
붓순나무-> 순 나오는 모양이 붓같아 붓순나무, 겨울눈 모양이 삐쭉해 빗죽이나무.
이팝나무->'흰 꽃이 쌀밥 같아 이조 전주 이씨나 먹는 이밥'이란 뜻의 이팝나무.
조팝나무-> 잔잔한 흰 꽃이 조밥을 연상하게 하는 조밥나무에서 유래된 조팝나무
야광나무-> 새하얀 꽃핀 모양을 밤에 보면 빛을 발하는 것 같아 야광나무,
박태기나무-> 꽃모양이 쌀을 튀긴 밥틔기와 같다는 그 말이 변해 박태기나무
복분자딸기-> 먹기만 하면 요강이 뒤집힐 만큼 정력이 세어진다는 복분자딸기
산딸나무-> 큰 나무에 딸기 모양의 열매가 달리는 산딸나무.
예수님나무-> 십자(十) 형태 흰꽃이 무리지어 피어.,일명 '예수님 나무'
미선나무-> 열매의 모양이 부채를 펴놓은 듯 아름답게 생겨 미선나무,
괴불나무->두 개씩 마주보고 달린 열매 모양이 개불알을 닮아 괴불나무,
중대가리나무-> 열매가 둥글고 반질반질하여 스님 머리를 닮아 중대가리나무, 중대가리 풀도 있슴.
쥐똥나무-> 열매가 쥐똥 같아 쥐똥나무, 만병통치약이란 뜻의 만병초,
염주나무-> 단단하고 새까만 열매가 달려 염주를 만들 수 있는 염주나무,
쪽동백나무-> 열매에서 머릿기름을 짠 동백에 비해 열매가 작아 쪽동백나무,
총각귀신나무-> 날카로운 갈고리처럼 휘어 실도 잘 걸리는 일명, 총각귀신나무
매발톱나무-> 가시가 매발톱 같아 매발톱나무, 가시에 잘 찔린다하여 찔레나무,
용가시나무-> 가시가 용발톱 같아 용가시나무, 줄기에 큰 가시가 많아 조각자나무
생강나무-> 잎, 가지, 꽃에서., 생강 냄새가 나는 생강나무,
소태나무-> 역한 누린내가 나는 누리장나무, 쓴맛의 소태나무,
향나무-> 나무에서 향기가 나는 향나무, 열매가 달아서 다래.
오미자-> 열매에서 신맛, 단맛, 쓴맛, 짠맛, 매운맛 나는 오미자,
물오리나무-> 습한 곳에 자라면, 물박달나무, 물황철나무, 물오리나무, 물참나무, 물갬나무 등등 앞에 물자가 들어가는 이름이다.
참싸리-> 유사한 나무와 구별하려면 참가시나무, 참개암나무, 참느릅나무, 참조팝나무, 참싸리 등등 참자를 붙인다.
산벚나무-> 깊은 산에 자라면 산딸기나무, 산벚나무, 산뽕나무, 산앵도, 산조팝나무, 산팽나무, 묏대추, 두메오리나무 등등의 이름.
팽나무-> 열매를 새총으로 쏘면 날아가는 소리가 팽~한다하여., 팽나무,
꽝꽝나무-> 잎이 두꺼워 불 속에 넣으면 "꽝꽝"하는 소리가 나는 꽝꽝나무,
자작나무-> 그 껍질을 태울 때 "자작 자작"하는 소리가 난다 하여 자작나무,
댕강나무-> "딱"하고 분질러지는 닥나무, "동강 댕강" 분질러지는 댕강나무
호도나무-> 오랑캐 나라에서 들어온 복숭아처럼 생긴 열매라는 호도나무,
골담초-> 뼈를 책임진다는 의미가 있고 한약제 원료로로 쓰이는 골담초,
개나리-> 개, 곰, 소, 호랑이, 여우, 고양이, 박쥐, 병아리, 까마귀, 까치
특히, '개' 접두어는 본래 나무와 비슷하나 좀 떨어진다는 의미
개나리, 개느삼, 개다래, 개머루, 개벚나무, 개벚지나무,
개비자나무, 개박달나무, 개산초, 개살구, 개서어나무,
개오동, 개옻나무, 개잎갈나무, 개회나무
기타 곰딸기, 곰의 말채, 호랑가시나무, 호랑버들, 호자나무,
쇠물푸레나무, 여우버들, 괭이싸리, 괭이신나무, 박쥐나무,
병아리꽃나무, 까마귀머루, 까마귀밥나무, 까마귀베개,
까마귀쪽나무, 까치박달, 까치밥나무 등등 접두어.
소나무-> 양지를 향해 허리를 굽히는 소나무.
잣나무-> 음지에서도 곧게 가지를 뻗는 잣나무.
송백(松柏)은 선비의 지조와 절개를 상징.
즉, 소나무는 양지를 찾아 허리도 굽히는 특성.
잣나무는 음지에서도 곧고 바름을 꺽지 않는다.
하여, 소나무와 잣나무를 선비의 마음가짐에 비유.
주목-> 살아 천년., 죽어서 천년.,주목(朱木)
주목의 생존 여부가 도시 오염의 척도.
환경 오염을 측정할 목적으로 기념 식수.
주목 군락지는 전국 어디나 살모사 서식처
주목 붉은 열매는 살모사에게 독을 공급한다.
철쭉-> 철쭉 군락지는 전국 어디나 꽃뱀의 서식처
철쭉 꽃으로부터 독을 공급 받기에 꽃뱀이다. <꽃뱀> = '아름다운 여인'의 유혹을 경계할 대명사
상수리나무-> 숯 원료이자 도토리가 열리는 상수리 나무.
떡갈나무-> 떡 시루 바닥에 잎을 깔기에.. 떡갈나무이다.
은행나무-> 피를 맑게 하고 공해제거 기능이 탁월한 은행나무.
<가지가 벌어지면 암놈, 가지가 하늘로 뻗으면 숫놈.>
가로수로 많이 쓰이는 이유는 단기간에 지는 낙엽.
낙엽으로 인한 차 미끄럼 사고 예방 및 청소비용 절감.
가로수 하나마다 10 명에게 청정 산소제공 및 오염 제거.
큰불이 날 때 잘 타지 않아 화제 진압 및 예방 효과도 탁월.
쪽동백나무-> 열매 기름 짜서 여인네 쪽 단장한 쪽동백나무.
쥐똥나무-> 수벽 용도이고 까만 열매가 쥐똥과 같아 쥐똥나무.
느티나무-> 고향 동네 어귀에 그늘을 제공하는 정자목인 느티나무.
<느티나무는 녹음 두텁고 수분 증발량이 많아 그늘이 시원>
머루-> 머루 다래 산딸기 오디 벗쥐 각종 열매를 제공하는 나무들.
자작나무-> 껍질을 벗겨 연서를 써 보내면 사랑이 이루어진다는 자작나무.
진달래-> '진달래 꽃핀 가지로 매맞으면,
때린 그 사람 만 사랑하게 된다.'
마가목-> 귀신을 쫓고 신경통에 좋다는 마가목. 사람의 영혼을 맑게 하는 차의 원료이다.
팥배나무-> 팥알 만한 배 맛의 열매가 열려 팥배나무. 서리가 내린 후에 새들의 먹이가 되는 열매.
박달나무-> 농기구 호미 도끼 자루에 쓰이는 박달나무.
오동나무-> 딸 낳으면 혼수 가구용 목재로 쓰인 오동나무.
각종 한약제 및 의약품 원료로 쓸모있는 나무들.
육성권장 향토수종
구상나무, 노각나무, 수양벚나무, 산딸나무, 히어리, 때죽나무,
산겨릅나무, 미선나무 등을 특산 향토수종으로 육성해야 바람직.
끝.